* 올 겨울 날씨가 왜 유난히 추운가? |
|
날씨가 춥고 눈도 많이 옵니다.
지구 온난화 때문이라고 하는데 일반인들로서는 온난화라면 따뜻해 진다면 몰라도 왜 더 춥고 눈도 많이 오는지 궁금하지만 여기 저기 신문 TV 등의 매체에서 떠들썩 해도 알기 어렵습니다.
<북극의 만년빙이 줄어드는 모습>
|
|
|
그런데 앞으로 2040년까지 계속 이렇게 겨울이면 춥고 눈이 많이 올 것이라고 합니다.
역시 지구 온난화 때문이고, 2040년 이후에는 사계절 모두 지금보다 덥고 건조할 것이라고 합니다.
올 겨울 추위에 대하여 차를 운행하면서 라디오에서 들은 것을 기억하였었는데 지금 이 글을 쓰면서 기후 관련 기사를 찾아보니 대개 다음과 같은 내용 입니다.
<날씨가 춥고 눈이 많이 오는 이유>
1. 북극의 만년빙이 많이 녹았다고 합니다.
2. 이렇게 녹은 눈이 수증기가 되어 대기에 섞이면 시베리아에 눈이 많이 온다고 합니다.
3. 시베라아에 눈이 많이 내리면 대기가 차가워 지면서 기압이 올라가 고기압이 된다고 합니다.
이 차가워진 고기압이 중위도지방의 기압보다 높아져 확장하게 되면 날씨가 추워지면서 눈도 많이 오게 된다고 합니다.
본래 중위도 지방의 기압이 시베리아보다 높은데 시베리아에 많이 내린눈이 기압을 높여 상공에 흐르는 제트기류가 남으로 밀려 나면서 찬 공기를 막아주는 차단벽이 없어져 시베라아의 고기압이 중위도 까지 확장 된다는 것입니다.
만년빙 해빙 -> 수증기로 증발 -> 시베리아에 눈이 많이 내려 -> 시베리아 공기가 차가운 고기압으로 되어 중위도 지방보다 기압이 높아져 -> 제트기류가 남으로 밀려 내려와 냉기의 차단벽 역할 못해 -> 우리나라 등 중위도 지방은 춥고 눈이 많이 오는 날씨가 돼
|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유엔기후협약
이번에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2012.12.07) 유엔기후협약 총회에서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절반을 차지하는 미국, 중국, 러시아, 캐나다, 일본 등이 의무 감축에 반대하였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일반인 들이 날씨에 대처하여 할 일도 별로 없고 미국같은 지구 온난화에 책임많은 나라는 지구온난화 협약의 온실가스 배출 의무 감축에 반대하고.. 난감한 지구촌 입니다.
2040년이 되면 북극의 만년빙이 다 녹을 것으로 예측 되는데 그 때까지는 지금의 겨울 추위가 이어질 것이고 그 이후에는 전체적으로 폭염이 오면서 겨울에는 눈이 많아질 것이라고 합니다.
묘한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2040년이면 앞으로 20년 이후가 되니 20년 동안은 겨울 추위가 우리와 함께하며 2040년 이후에는 폭염과 함께 폭설을 함께 할 것이라니 아예 마음먹고 추운 겨울을 잘 견디며 살아갈 준비를 하여야 하겠습니다.
(참고기사 : THE SCIENCE : 북극얼음 기록적 감소… 올겨울에도 한파-폭설 덮친다 <= 클릭 )
.밝 누 리.
[밝은 우리의 온 삶터]
-밝은 밝음이며, 온은 따뜻함(溫)이고 모두(全 온통)이며, 누리는 살아가는 세상이고 살아가는 역사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