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우리말 "밝"과 발라(發羅)를설명하기 위해 작성한 것입니다.

백두산의 원래 이름은 "한밝산" 입니다.

우리나라 산이름 가운데 가장 많이 쓰인 글자가 백(白)입니다.

백두산 소백산 태백산 백록담 백운산 백덕산 백악산 백화산 백암산 백계산 백마산 백련산 백우산 백월산 백적산 백아산 백봉 백양산 등등...

또한 산봉우리가 비로봉 천황봉 등으로 불리는 곳도 많습니다.

이 모두가 "밝"을 표현한 말입니다.

발해(渤海)와 발라(發羅)도 순우리말 "밝"이 어원인 것입니다.


순 우리말 "밝"과 "라"와 "발라(發羅)"와 "밝라"를 생각하여 봅니다.

순 우리말 "밝"과 "라"와 "발라(發羅)"와 "밝라"를 생각하여 봅니다.

나주의 옛지명 발라(發羅)는 펴라 아라 가라 새라 탐라와 같이 나라를 나타내는 말일 수 있다.

발라(發羅)는 "밝라"이고 "밝은 나라"이고 "바다의 밝은나라"

순 우리말 "라"는 이두문에서 로 표기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삼국시대 이전부터 우리민족은 한자의 음이나 훈을 빌린 이두를 사용합니다.

그런데 후세 사람들이 이두문을 제대로 읽지 못하여 허다한 역사의 사실을 사실과 다르게 해석하

는 일이 일어 납니다.

순 우리말 "라"를 이두로 표기하면서 ""로만 표기한 것은 아닙니다.
펴라가 평양도 되고 낙랑도 되었습니다. 다시 말해 "라"가 "양"도 되고 "랑"도 된 것입니다.
그런가 하면 "가라(伽羅)"가 가야(伽倻)가 되는 것 처럼 "야"로 표기 되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두문도 여러 갈래가 있습니다.
이두, 각자, 향찰 등이 있었고 또 지역이나 직급이나 신분지위에 따라 다른 이두문이 있었던 것

입니다.
일반적으로 쓰이던 이두, 불경에 붙였던 각자, 향가에 붙였던 향찰이 있었던 것입니다.


그리고고구려 백제 신라가 가각 다른 이두문을 사용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같은 나라에서도 서로 다른 이두문을 사용하는 사례가 많았습니다.

이를테면고구려 내에서도 귀족계급과 하급관료가 사용하는 이두문이 달랐는가 하면 같은 귀족계

급에서도 서로 어울리는 무리에 따라 다른 이두문을 사용하였던 것입니다.

물론 신라나 백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와 같이 이두문이 여러가지로쓰이다 보니 후세에 읽어 내는 것이 무척 어려운 일이 되었습니다.

고려시대 석학이라는 김부식 조차 삼국사기를 저술하면서 이런 이두문을 제대로 읽어내지 못하여

오류를 범한 부분이많은 것입니다.
그런만큼 우리 역사서를 제대로 읽으려면 이두를 알아야 하고 선조들이 이두문을 잘못 읽은 오류

를 찾아 바로 잡아야 하는 것입니다.

걸걸중상을 보십시요.
걸걸중상(乞乞仲象)은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大祚榮)의 아버지입니다.
걸씨 혹은 걸걸씨가 왜 대씨가 되었을까요?
우리말 '걸'은 크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으니 걸이 대가 되는 것이 이상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걸"과 "대"는 너무 달라 같은 말이라는 것을 찾아내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사실우리말이 이두로 쓰이다가 한자어로 쓰이는 과정에서 처음의 우리말을 찾아내기 어려운일

이 생기는 것은이두문이 여러갈래로 쓰이지 않았다 하더라도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기도 합

니다.

발라(發羅)를 생각하여 봅니다.
우리나라에 펴라 아라 가라 새라 탐라 라라가 있었지만 발라도 있었습니다.

(* 펴라-평양 낙랑 고구려.

아라-서울 한강 백제.

가라-가락 현해탄 가야.

새라-낙동강 신라.

탐라-한라.

라라-나라<>.

발라-영산강 마한)
순우리말 "라"를 이두로 표현하면서 로 썼는데 나주는 삼국시대에 발라현(發羅縣)이었습니다.

이 후에 통의군(686년)이 되고 금성군(757년)이 되고 나주(고려초 918~940년)가 됩니다.

그렇다면 우리 역사의 여러나라에 발라(發羅)가 하나 더 등장합니다.

펴라 아라 가라 새라 탐라에 이어 발라를 하나 더 등장 시킬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발라가 어떤 나라였을까요?

오늘날 영산강 변에 국가체계를 갖춘 여러 유적이 발굴되고 있습니다.

이런 유적을 볼 때 "발라"가백제보다 더 오랜 역사를 가진 마한에 속하는 세력일 수 있습니다.


그러니발라를 마한이라고 할 일입니다.

발라(發羅)!!


그런데 우리말 "발"은 독특한 의미를 지닙니다.
"밝"
이 말이 어원 입니다.

동아 지중해와 배달해.
동국대 윤명철 교수는 우리나라의 동해 남해 황해 등지를 "동아 지중해"라 이름 붙이면서 우리나

라가 해륙국가(海陸國家)라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리고 선문대 이형구교수는 또 요하문명을 발해문명(*)이라고 설명 합니다.
우리 민족이 시베리아에서 남하하였다는 설을 춥고 사람살기 어려운 척박한 땅에서 어떻게 우리

민족이 시원할 수 있겠느냐면서 오히려 발해문명이 시베리아 까지 퍼져 나갔다고 주장 합니다.
(* 선문대 이형구 교수, "한민족 뿌리는 발해연안문화")

저는 동아지중해 보다는 배달해(*) 혹은 밝해라고 불러야 한다는 의견 입니다.
(* 배달해 나 밝해에 대해서는 나중에 별론으로 글을 올릴 생각 입니다.)

그렇다면 발해가 그냥 발해(渤海)일까요?
이는 밝해가 발해가 되었다고생각할 수 있습니다.

우리말 "밝"
이 말은 원시인류의 공용어 입니다.
밝이 밝안이 되고 붉은이 되고 부루가 되고 비로가 되고, 그런가 하면 바이칼(밝강)이 되는가 하면

발칸(밝한)도 되며, 이집트에선 파라오(바라오 - 바알 - 밝)가 되고 중앙아시아에서는 배화교(조로

아스터교)의신(바알신 - 밝) 되기도 합니다.
우리 민족을 백의민족이라고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밝의 민족"이기도 합니다.


배달은 밝달이 변한 말입니다.
양달 응달을 보면 밝달이 명확하여 집니다.
(* "밝"에 대해서도 나중에 별론으로 글을 올릴 생각 입니다.)

위의 내용을 살펴보면 발해(渤海)가 밝해에서 파생한 것임을 살필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발라(發羅) 입니다.

발해가 밝해이듯이 발라(發羅)는 밝라이고 밝은 나라이고 바다의 밝은나라 입니다.
나주가 발라현이었고 그것은 우리말 "밝"이 "발"이 된 것이고..
또 "라"는 순 우리말 나라 혹은 강(가람)이라면 발라는 밝나(라)가 되고 맙니다.

해륙국가인 우리나라가 아라가 되어 바다가운데 나라가 되고, 밝라가 되어 밝은 바다의 나라가 되

고, 밝해가 되어 밝해문명을 건설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발라는 펴라 아라 가라 새라 탐라 나라와 같이 마한의 나라이름이었을 수 있습니다.
발해는밝은 바다 밝해이고, 발라는 밝은바다의 나라 밝라일 수 있습니다.


21세기는 배달겨레가 웅비(雄飛)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말 "라"는 펴라 아라 새라 가라 탐라 라라 발라 처럼 더욱 혁혁하게 빛나게 될 것입니다.


.밝 누 리.

[밝은 우리의 온 삶터]

Posted by koreanuri@hanmail.net
,